교육시간: 총138시간 (42일) - (화,수,목,금) - 19:00~22:00 / (토) - 09:00-15:00
교육방법: 실시간 비대면
수강료: 전액무료
Step1 -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- 현업전문가와 New Trend 및 실 사례를 분석합니다.
Step2 - 클라우드네이티브 인프라 구축 - 클라우드 기반의 환경을 클라우드네이티브로 전환 설계부터 운영까지 진행하며 고급기술을 슥듭하고 운영해볼 수 있습니다.
Step3 - IaC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구축 - Iac 적용 사례 기반으로 Iac 기술력을 갖춘 클라우드네이티브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설계되었습니다.
Project 1 - 보안과 운영 안정성을 고려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
프로젝트 목표
- 스프릭부트 기반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운영 환경에서 동작 되도록 구축
- 가상화를 통한 안정성, 확장성, 서비스 지속성, 보안성을 고려한 아키텍처 설계
-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운영 및 관리
프로젝트 진행 단계
1. 분석 및 아키텍처 설계 :
- 고객 요구사항 확인 및 분석 및 명세화하여 필요 서비스 확인
- 실 사례 중심 서비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쳐
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
- 클라우드 예상 비용 산정
2. 아키텍처 구축 :
- 아키텍처 구축을 위한 WBS 작성
- 프로젝트 일정 및 진행 확인
- 보안성, 확장성, 안정성을 고려한 인프라 아키텍처 구축
3. 관리 및 운영 :
- 애플리케이션 운영
- 서비스 모니터링 및 백업
- 로그 데이터 확인
- 서비스 운영 클라우드 비용 산정
Project 2 - 개발 생산성과 자원 효율성을 고려한 클라우드네이티브 인프라 전환 또는 구축 프로젝트
프로젝트 목표
- 클라우드 장점을 유지하면서 클라우드네이티브 전환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산성과 운영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및 운영
- 클라우드네이티브 운영 환경으로 전환(마이그레이션) 또는 구축할 수 있는 클라우드네이티브 역량 개발
- DevOps 기반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운영
프로젝트 진행 단계
1. 인프라 전환 및 구성
-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(Container) 기반 빌드
- MSA (MicroService Architecture)
2. DevOps기반 CI/CD 인프라 구축 :
- 클라우드 리소스 활용하여 DevOps, MSA 환경에 맞게 보안성, 확장성, 안정성 유지
3. 관리 및 운영 :
- 서비스 운영에 맞추어 모니터링 및 SNS를 통한 알람 설정
- 전체 운영 서비스에 사용된 클라우드 리소스 비용 산정
Project 3 - 자동화와 일관성 및 표준화를 고려한 IaC(Infrastructure as Code) 기반의 클라우드네이티브 인프라 전환 및 구축 프로젝트
프로젝트 목표
- 코드(code)와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사용하여 인프라 아키텍처와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관리
- 클라우드네이티브로 운영 서비스 인프라를 IaC 기반으로 전환하여 운영 역량 개발
프로젝트 진행 단계
1. IaC 적용 계획 및 설계 :
- IaC의 종류와 전환사업에 대한 방법 이해
- 테라폼 실습 환경 구성 및 AWS 서비스 구현
2. 인프라 구축 및 적용 :
- 기존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처 및 클라우드네이티브 인프라 아키텍처에 테라폼 (Terraform)으로 구축 적용
- 오픈소스 기반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위한 앤서블(Ansible) 구축 적용
3. 관리 및 운영 :
- 전체 서비스 동작 및 로그, 백업, 모니터링 등 운영 점검
- 전체 운영에 대한 서비스 속도, 확장성 점검
- 클라우드 비용 산정
이성미 강사님
이력 :
(전) HPE Korea 교육센터 강사
(현) WePLAT 대표
필드 엔지니어, 인프라 구축 및 애플리게이션 운영 서비스 경력 9년
김용호 강사님
이력 :
(현) DevOps 엔지니어
Application 개발
Data Pipeline 구축/운영
AWS Infra, DevOps (총 10년)
하진우 강사님
이력 :
(현) 클라우드 엔지니어
클라우드 MSP 서비스 운영 및 인프라 구축
클라우드 서비스 포털 지원
WePlat - 현업 사례기반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교육 콘텐츠
step01 홈페이지 접수 -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접수 step02 서류 전형 - 이력서 제출 및 역량 서류 평가 진행 step03 면접 전형 - 개인 학습 능력 및 태도, 협업 능력과 역량이 부합하는지 전화 인터뷰 진행 step04 최종 선발 - 수강생 최종 선발